주요기록

전체 320 개
IMF 구제금융 당시 한국의 경제적인 상황에 대한 분석
Tseng에게 보내는 서신. 부외항목, 한국은행의 수출신용창구, 단기금융시장상품 자유화, 투자은행처리, 한국은행의 유동성 지원 금리문제, 국채발행을 위한 국회동의, 만기가 3년 미만인 기업해외대출 자유화, 국내금융기관에 대한 외국인투자 가이드라인, 정부가 인수하는 두…
Mr. Thimann에게 보내는 편지. 기존 전망보다 세수부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인수위에서 보다 큰 긴축안이 고려 중이라는 내용.
IMF 협약 이행관련 연내 추진사항
1997년 12월 18일 Boorman이 Guitian에게 보낸 메모에서, Boorman은 Plan B를 적용하면 자본도피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포괄적인 자본통제가 필요하다는 Guitian의 주장에 동의하였다. Patrick Downes는 이러한 생각에 반대를…
11월 26일 한국의 외환보유고 상황이 예상보다 훨씬 심각함을 알리고 2선 지원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는 내용
리만브라더스의 IMF 한국 구제금융에 대한 전망 및 분석
금리 관련 시기별 합의 내용
11/16 인터콘티넨탈호텔 secret meeting 회의내용 외 수기
노동조합 간부들과의 비공식 면담자료. 1) 사회적 대화가 중요 2) 모두 똑같이 고통분담해야 3) 노동시장유연화는 불가피. 그렇지 않으면 구조적 실업의 고착화. 4) 이러한 이슈들에서 협력하면 새 정부와 관계를 잘 만들 수 있다.
경기전망 악화와 건전성 기준에 따른 유동성 경색으로, 건강하다고 여겨지는 회사에도 도산위험이 있음. 이를 좌시해서는 안되며, 유동성 위기를 관리하는 것이 현 국면의 제일 시급한 과제. 한국정부가 건전성 감독의 시점을 연기한 것은 은행합병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ILO 부총재 Katherine Hagen과의 미팅을 가졌으나 충분히 설득되지 않았음. ILO의 방콕 스태프를 한국으로 보내 IMF 파견단과 만나보게 할 수 있다는 의향을 들었음. p2 : Meeting with Katherine Hagen, ILO Deputy…
Attached for consideration by the Executive Directors is a paper on the third quarterly review under the Stand-By Arrangement for the Republic of…
Press Release No. 97/55 한국에 대한 210억 달러 구제금융 내용 발표
The Economic Club of Washington 미셸 캉드쉬 연설 내용
IMF 협의 대비 시나리오 
2003년 3월 30일 (일) / 제 67 회 ▶ 한국, IMF로 가다 / 연출 : 조준묵 99년 초, 환란 위기를 초래한 원인과 주범을 밝히는 청문회가 열렸 다. 결국, 당시 경제 책임자인 강경식과 김인호가 직무유기 및 직권남 용의 혐의로 구속되면서  경제청문회는…
Statement by the Staff Representative on the Republic of Korea Executive Board Meeting 98/16 February 17,1998 On February 14, 1998, an extraordii…
강경식 부총리가 사임하고 후임으로 온 임창렬 부총리의 임명과 직후 발표한 성명을 첨부하였음(2페이지)
한국 구제금융 협상의 경과를 알리는 내용의 수기 서신
노동운동과 IMF 간의 대화를 요청. 위기의 책임은 '고부채와 과잉투자를 일삼은 재벌'과 '상업적 지향이 부족한 은행시스템과 부실한 감독이 초래한 취약성'에 있다는 IMF의 분석에 동의한다. 현재의 위기는 재벌체제를 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 믿는다. 정리해고와…
97년말 현재 우리나라의 총 대외지불부담 현황 (수정후)
총재실/부총재실에 Hayward와 Ryback이 보낸 현장 리포트를 보고하는 내용. 한국 금융기관의 부외부채, 구체적으로는 파생상품거래가 현금흐름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파견된 IMF MAE와 미 연준이 도출한 결과에 대한 보고. 보증 포지션(guarant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