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2017년부터 IMF에 20년이 지난 기록들에 대한 비밀해제를 요청하고, 국가기록원에 찾아가 당시 관료들이 남겨놓은 기록을 수집해 디지털화 했습니다. 기업, 노동계, 연구기관, 언론보도 등 웹 상에 흩어져 있는 자료들을 모았습니다. 외환위기의 기록을 먼저 살펴보았던 연구자 선생님을 찾아가 기초자료들을 기증받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총 5300여건의 자료가 2019년 9월 아카이브에 1차로 등록되었고, 2020년 12월 IMF로부터 송부받은 609건의 기록이 등록되었습니다.  

97년 가을, 갑작스럽게 불어닥친 외환위기의 광풍으로 인해 한국 사회는 큰 변화를 맞이했습니다. 이른바 30대 대기업 중 17개가 연달아 무너지고, 은행과 금융사들 역시 퇴출되었습니다. 정리해고로 인해 100만 명이 넘는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었고, 주식과 부동산 시장 역시 된서리를 맞았습니다. 2001년 8월, IMF 관리 체제가 끝나면서 "이례적으로 빠르게 위기를 극복했다"고 자화자찬했지만 외환위기의 후폭풍은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비정규직 문제, 취업대란, 소득 양극화 등 오늘날 심각한 사회 문제들의 뿌리가 97년 외환위기라 할 수 있으니, 이 시기야 말로 가히 '헬조선의 기원'이라 부를 만 합니다.

이처럼 외환위기가 한국 사회에 남긴 커다란 상흔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외환위기의 원인과 발생, 경과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합니다. '금 모으기 운동'으로 대표되는 위기 극복 서사는 있지만, 정작 위기가 어떻게 일어났는지에 대해서는 사회적 인식이 없는 셈입니다.‘제 2의 외환위기’를 이야기하는 언론들 역시, 외환위기를 수사로 활용할 뿐 외환위기 당시의 문제들을 짚어내고 복기하려는 모습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정보공개와 기록관리에 대한 전문단체를 표방하고 있는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외환위기 20년을 맞은 2017년부터 20년 주기로 비밀이 해제되는 국제기구 IMF의 기록을 청구하는 한편, 국내의 공공기관과 민간단체들이 보유한 관련 기록들을 모으고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정보공개센터는 이러한 기록들을 잘 모아서 외환위기에 대한 대중적 이해를 넓히고, 많은 시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아카이브를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