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기록

제목1985∼95년중 우리나라의 취업구조 변화


설명     우리나라의 취업자수는 1985년의 13,094천명에서 1995년에는 17,197천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3.1%의 증가율을 보였다.  기간별로는 1990~95년중 증가율이 연평균 1.7%로 1985~90년의 4.3%보다 크게 둔화되었는데 이는 1990년대에 들어와 노동생산성 향상과 투입계수 변화에 의한 취업감소효과가 내수 및 수출증가에 의한 취업증가효과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취업자수의 증가세 둔화와 함께 산업별 취업구조도 변화를 보였다. 1985~90년중 증가세를 보였던 제조업의 취업비중이 1990~95년중 감소세로 반전되고, 서비스업의 취업비중은 생산자 및 개인서비스를 중심으로 크게 높아져 전체 취업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등 취업구조면에서의 서비스화가 크게 진전되었다.    이와 같은 취업구조의 서비스화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서비스업과 기계장비임대업, 금융․보험업 등이 빠른 속도로 성장한 데 더하여 산업내 분업구조의 심화 등으로 과거 제조업부문 내에서 행해지던 광고, 컴퓨터 및 정보처리서비스 활동 등이 서비스부문으로 분리․독립된 것도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한편 1995년중 산업별 취업유발계수(명/10억원)는 전산업 평균 34.2로  1985년의 73.5, 1990년의 52.2에 이어 계속 하락하여 우리 경제의 고용흡수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부문별로는 서비스재부문이 43.5로 물적재화부문의 32.2를 상회하여 동 부문의 고용흡수력이 물적재화부문보다 높아졌다.     그러나 산업내 실제 취업인원에서 타부문에 대한 최종수요에 의해 자기부문에서 유발된 취업인원을 차감하고 자기부문에 대한 최종수요에 의해 타부문에서 유발된 취업인원을 합산하여 산업간 취업유발효과를 조정한 취업유발인원을 보면, 물적재화부문 특히 제조업에 대한 최종수요가 서비스재부문의 취업에 미치는 취업유발효과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훨씬 커 고용창출에 제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억원의 최종수요에 의해 유발되는 취업인원은 1995년중 노동집약적인 소비재와 서비스재로 주로 구성된 소비가 41.4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수출이 30.3, 투자가 25.4로 나타나 소비증대가 가장 큰 고용창출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자한국은행 조사부 국민계정실 투입산출담당


날짜1998-09-00


기록유형문서류


기록형태보고서/논문


주제정치경제


연관링크https://www.bok.or.kr/portal/bbs/P0000551/view.do?nttId=3404&menuNo=200438&pageIndex=2


식별번호KC-R-00364


제목1985∼95년중 우리나라의 취업구조 변화


설명     우리나라의 취업자수는 1985년의 13,094천명에서 1995년에는 17,197천명으로 늘어나 연평균 3.1%의 증가율을 보였다.  기간별로는 1990~95년중 증가율이 연평균 1.7%로 1985~90년의 4.3%보다 크게 둔화되었는데 이는 1990년대에 들어와 노동생산성 향상과 투입계수 변화에 의한 취업감소효과가 내수 및 수출증가에 의한 취업증가효과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취업자수의 증가세 둔화와 함께 산업별 취업구조도 변화를 보였다. 1985~90년중 증가세를 보였던 제조업의 취업비중이 1990~95년중 감소세로 반전되고, 서비스업의 취업비중은 생산자 및 개인서비스를 중심으로 크게 높아져 전체 취업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등 취업구조면에서의 서비스화가 크게 진전되었다.    이와 같은 취업구조의 서비스화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개인서비스업과 기계장비임대업, 금융․보험업 등이 빠른 속도로 성장한 데 더하여 산업내 분업구조의 심화 등으로 과거 제조업부문 내에서 행해지던 광고, 컴퓨터 및 정보처리서비스 활동 등이 서비스부문으로 분리․독립된 것도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한편 1995년중 산업별 취업유발계수(명/10억원)는 전산업 평균 34.2로  1985년의 73.5, 1990년의 52.2에 이어 계속 하락하여 우리 경제의 고용흡수력이 크게 약화되었다. 부문별로는 서비스재부문이 43.5로 물적재화부문의 32.2를 상회하여 동 부문의 고용흡수력이 물적재화부문보다 높아졌다.     그러나 산업내 실제 취업인원에서 타부문에 대한 최종수요에 의해 자기부문에서 유발된 취업인원을 차감하고 자기부문에 대한 최종수요에 의해 타부문에서 유발된 취업인원을 합산하여 산업간 취업유발효과를 조정한 취업유발인원을 보면, 물적재화부문 특히 제조업에 대한 최종수요가 서비스재부문의 취업에 미치는 취업유발효과가 그 반대의 경우보다 훨씬 커 고용창출에 제조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억원의 최종수요에 의해 유발되는 취업인원은 1995년중 노동집약적인 소비재와 서비스재로 주로 구성된 소비가 41.4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수출이 30.3, 투자가 25.4로 나타나 소비증대가 가장 큰 고용창출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자한국은행 조사부 국민계정실 투입산출담당


날짜1998-09-00


크기 및 분량15쪽


언어한국어


출처한국은행


연관링크https://www.bok.or.kr/portal/bbs/P0000551/view.do?nttId=3404&menuNo=200438&pageIndex=2


기록유형문서류


기록형태보고서/논문


대주제정치경제


소주제노동


자원유형기록


파일 4ad4ece29536ae8fa63cf1a6f3fb485b.pdf